한동훈·용산, 이종섭·황상무·비례대표 놓고 '일촉즉발'
한동훈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 선거대책위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종섭 주 호주대사·황상무 시민사회 수석 거취 놓고 이견
비례대표 후보 명단 발표되자 '친윤계' 일제히 반발 나서
총선 23일 앞두고 민주당에 열세 여론조사 속출해 위기감↑
4·10 총선을 23일 앞두고 ‘수도권 위기론’이 고개를 든 가운데 대통령실과 국민의힘이 18일 정면 충돌했다. ‘수사 회피’ 논란을 빚은 이종섭 주 호주 대사와 ‘언론인 회칼 테러’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인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거취 문제로 촉발된 당정 갈등이 여당 비례대표 후보 선정 문제로까지 번지는 등 일촉즉발의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
우선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이날 오전 공지문을 통해 “이종섭 전 국방장관의 호주 대사 임명은 적임자를 발탁한 정당한 인사”라며 “공수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조사 준비가 되지 않아 소환도 안 한 상태에서 재외공관장이 국내에 들어와 마냥 대기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전날 “(이 대사의) 즉각 소환, 즉각 귀국”을 주장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주장을 정면 반박한 것이다. 이날 한 위원장은 “본인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며 사실상 사퇴를 촉구한 황상무 수석도 사퇴하지 않았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언론의 자유와 언론기관의 책임을 철저하게 존중하는 것이 우리 정부의 국정철학”이라고 공지한 데 이어 ‘자진 사퇴로 가닥이 잡혔다’는 황 수석 관련 보도가 나오자 즉각 “사실과 다르다”고 공지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황 수석을 직접 경질할 생각은 없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 수석도 이날 정상 출근 뒤 주변에 “자숙하겠다”는 입장만 밝혔다.
국민의힘이 이른바 ‘이종섭·황상무 리스크’에 목소리를 높인 건 총선을 목전에 두고 부상한 ‘수도권 위기론’ 때문이다. 국민의힘이 수도권 격전지에서 더불어민주당에 열세를 보이는 여론조사가 속출하자 한동훈 비대위 출범 후 가라앉았던 위기감이 다시 불거진 것이다. 
이날 당내에서는 ‘이종섭 귀국, 황상무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잇달아 나왔다. 안철수 의원과 나경원 전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은 수도권 후보 3인방은 “이 대사 해임 문제를 검토할 수 있다”(안철수) “(황 수석) 본인이 알아서 정리해야 한다”(나경원)며 압박했다. 당내 대표적인 친한계 인사인 김경율 비대위원도 라디오에 나와 “황 수석은 공직자로서 자세가 돼 있지 않다”며 “스스로 오늘이라도 당장 사퇴하는 게 올바른 길”이라고 주장했다.
한동훈 비대위에 속한 김예지 의원과 한지아 을지의과대학 부교수가 각각 당선권(20번 이내)인 15번·12번에 배치되고, 윤 대통령 측근으로 통하는 주기환 전 광주시당위원장(24번) 등이 당선권 밖으로 밀려났기 때문이다.
이른바 '찐윤' 이철규 의원은 페이스북에 “눈이오나 비가오나 문재인 정권에 저항하며 당을 위해 헌신해 온 동지들이 소외된 데 대해 당 지도부는 후보 등록일 전까지 바로잡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이기도 한 이 의원은 “비례대표를 연속으로 두 번 배려하지 않는다는 당의 오랜 관례는 깨지고, 비대위원 2명이 비례대표에 포함됐다”며 “생소한 이름의 공직자 2명이 당선권에 포함된 상황에서 온갖 궂은일을 감당해 온 당직자들이 배려되지 못한 데 대한 실망감은 더더욱 크다”고 후보 개개인을 거론하기도 했다.
.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