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투표 날도 우왕좌왕…"선관위 신뢰 흔들려" 투표 관리 도마 위
6·3 대선 본 투표가 3일 오전 6시부터 전국 1만4295개 투표소에서 일제히 시작된 가운데 춘천 봄내초 체육관에는
이른 시간부터 투표를 하기 위한 시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최보권 기자
대리 투표·명부 오류 등 부실사례 발생
SNS 부정선거 의혹 다시 한번 제기도
전문가 "불신받지 않도록 시스템 바꿔야"
제21대 대통령선거 본 투표일인 3일 강원지역을 비롯한 투표소 곳곳에서 혼선이 이어지면서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투표 관리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사전투표에 이어 본 투표에서도 대리 투표와 명부 오류 등 부실 사례가 발생해 유권자들의 불신이 커지고 있다.
이날 춘천 남면행정복지센터 투표소를 찾은 유권자 A씨는 선거사무원으로부터 "이미 투표를 한 것으로 서명이 돼 있어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A씨는 선거사무원에게 "투표를 하지 않았는데 무슨 소리냐"고 항의했으나 자신의 투표용지 수령인란에 이미 서명이 기재된 것을 발견, 투표를 하지 못한 채 귀가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선관위가 이후 선거인 명부를 재확인한 결과, A씨의 수령인란에 서명을 한 것은 A씨와 이름이 비슷한 다른 유권자였다. 이후 경찰과 다시 투표소를 찾은 A씨는 오후 중 투표를 마쳤다.
이날 오후 영등포구 당중초등학교 투표소를 찾은 한 70대 여성은 '이미 투표한 것으로 돼 있다'는 안내를 받고 경찰에 신고했다. 선관위는 동명이인 투표 여부 등을 포함해 경위 파악에 나섰다.
관악구, 서초구 등 다른 지역 투표소에서도 '투표하지 않았는데 명부에 서명이 돼 있다'는 유권자의 신고가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사전투표 기간 동안에도 대리 투표, 투표용지 외부 반출 등 부실 관리 사례가 잇따라 발생했다.
지난달 29일 강남구에서는 투표사무원이 배우자의 신분증으로 대리 투표를 한 뒤 본인 신분증으로 또 투표해 경찰에 붙잡혔고, 서대문구에서는 일부 시민이 투표용지를 받은 뒤 밖으로 나가 식사 후 돌아오는 일이 벌어져 논란이 됐다.
이 같은 상황 속에 일부 유권자들은 투표소 앞에서 직접 부정선거를 감시하겠다며 나서기도 했다.
유튜브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상에서는 관리 부실 사례를 근거로 부정선거 의혹을 다시 제기하는 글도 다수 확인되고 있다.
서울 용산구에서 본투표에 참여한 직장인 이모(32)씨는 "사전투표에 관한 루머가 워낙 많아서 본투표를 택했다"며 "SNS에서 문제 제기가 많았는데, 오늘 투표는 큰 문제는 없어 보였지만 여전히 불안감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30일 중구 사전투표소를 찾았던 직장인 김모(46)씨는 "부정선거론을 신뢰하지는 않지만, 운영상 실수가 없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선관위의 인적 쇄신과 제도 개선을 통해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본지 대선자문단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만약 역량이 안 된다면 사전투표 같은 제도는 없애고 본투표를 2∼3일에 걸쳐 할 수도 있다. 유권자 편의를 위하는 취지는 좋지만, 사고가 나는 것보다는 제도의 신뢰를 높이는 편이 낫다"고 말했다.
이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아랫사람들이 책임지는 것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 윗사람들이 책임을 져 물러나고 새로운 사람들이 기존의 문제를 검토해서 불신을 자아내게 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종진 기자 ⓒ 강원도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