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닮은 '도플갱어'는 유전자도 비슷하다? 연구서 확인
얼굴이 매우 흡사한 '도플갱어'들은 유사한 유전자형(genotype)을 공유한다는 해외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전자형이란 사람이 지니고 있는 특정 유전자의 조합을 일컫는다. 다만 DNA 메틸화와 미생물군집 등 생체 매개변수에선 차이가 나타났다.
마넬 에스텔러(Manel Esteller) 스페인 호세 카레라스 백혈병 연구소 박사 연구팀은 지난 24일 이 같은 연구 논문을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게재했다. 이번 연구는 연구 대상이 제한적이어서 일반화하기엔 한계가 있지만, 소위 도플갱어 간 유전자 상관관계를 분석한 이례적 연구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에스텔러 박사 연구팀은 닮은꼴 얼굴 32쌍을 분석했다. 1999년부터 도플갱어 사진을 모아온 사진작가 프랑수아 브뤼넬로부터 자료를 받았다. 연구팀은 우선 안면 인식 알고리즘을 활용해 얼굴 간 유사성을 정량화했다.
이를 통해 32쌍 중 유사도가 더 높은 16쌍을 추려냈다. 이어 연구 대상자들로부터 타액을 제공받아 DNA 비교 테스트를 진행했다. 유전체와 전사체, 단백질 등을 종합적으로 들여다보는 멀티오믹스 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연구팀은 생활 습관과 관련한 광범위한 설문조사도 실시했다.
그 결과, 더 닮은 16쌍이 다른 16쌍에 비해 훨씬 많은 특정 유전자형을 공유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만 DNA 메틸화와 미생물 군집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특정 유전자형은 공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생체 매개변수에서 차이를 나타낸다는 의미다.
에스텔러 박사는 "비슷하게 생긴 사람들이 더 많은 유전자를 갖고 있다는 사실은 상식처럼 보이지만 결코 증명된 적은 없다"며 "이번 연구는 인간의 얼굴 형성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분자적 특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향후 이번 연구를 더 고도화하면 법의학, 질병진단에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법의학 중 범죄 프로파일링 분야에선 얼굴이 기존 편견이 더 고착화되는 데 쓰일 수 있다며 활용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했다.